Home 전시· 사업 회원전시

회원전시

유 희 승展 월간전시가이드 기획 초대전

전시장소 라메르갤러리 전시기간 2017년 9월27일 ~ 2017년10월10일 전시작가 유희승

월간전시가이드 기획 초대전

라메르갤러리

927-1010

 

현대인의 사유(思惟)와 전통기법의 또 하나의 조화

 

해방이후 한국의 급변은 여성의 사회·가족 내에서의 의식상·심정적인 큰 변화를 가져와 여성의 사회 및 자신의 지향과의 괴리가 커지고 다양화되었다. 박사졸업전시 후 10년간의 작업을 보여주는 이번 유희승의 전시는 그러한 괴리를 전통 한국화의 현대화를 통해 노력해온 또 하나의 한국화적 추상이다. 특히 그녀 그림은 중국의 미술대학 커리큘럼에는 아직도 건재하나 한국에서는 사라진, 전통 회화의 삼대맥(三大脈), 즉 인물화·산수화·화조화 중 인물화·화조화(花鳥畵) 또는 화훼화(花卉畵)가 주()이다. 인물화는 전통 병풍화의 종축(縱軸) 구조틀을 도입하면서 인간상의 현대적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고, 인물화의 일부이던 화훼화는 인물화속에서 역활이 강해지는 한편 독립 화과(畵科)로 변하기도 한다. 이는 독일의 미술사학자, 볼링거(Wilhelm Worringer, 18811965)가 말하듯이, 20세기 이후 사회, 세계와의 부조화속에서 살아가는 현대 인간, 특히 여성의 불안이 전통적 먹선과 다양한 농담(濃淡)의 발묵(潑墨채색의 혼용 등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의 파괴, 분리로 현대적으로 변용하게 한 것이리라. 특히 한국화에 추상·설치·영상이 많아지면서 전통적인 회화와 조우하는 방법을 찾지 못하고 그리는그림이 잊혀져, 한국화가들의 사유(思惟)와 표현방법의 정체성에 문제가 제시되고 있는 현금에, 그녀가 어떻게 표현 구도상의 분합(分合) 관계와 전통적인 먹 및 채색의 사용방법, 용필(用筆) 등을 통해 자신의 입의(立意), 즉 화의(畵意)를 구현하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는 것은 그녀 및 현대 한국화의 어떤 방향성 탐색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사회 및 자신의 지향과의 괴리: 은현(隱現장로(藏露)의 숨김(·)의 미학에서 드러냄((·)의 미학으로: 2007년 전시가 숨김과 드러냄(隱現,藏露)의 미학중 숨김(·)의 미학이 였고, 인물화 화면과, 발묵(潑墨)과 발묵의 흔적에 ··黃色 점이 있는, 마치 하늘의 현색(玄色)인 듯한 다양한 먹빛화면들을 붙여 자신의 이상과 사회현실과의 괴리를 감성적으로 극화(極化)한 자신의 구사(構思, 즉 구상)를 한지에 천배접을 한 후 수묵(水墨)과 석채(石彩), 채색, 금니(金泥)로 실현하던 수묵·채색화는 옆에 붙은 먹빛화면이 탈춤의 소매의 일부로 이어지면서 그 하늘이 다른 하늘이 아니요 그녀의 하늘임을 밝혔었다. 그러나 2008년부터 그러한 연관이 사라지고, 폭 수와 크기가 줄고 채색이 강화되면서, 일폭화로 진행되거나 인물이 강하게 자기를 주장하면서 하늘의 역할은 더 강화되었다. K. 해리스(Harris), 서양 현대에서 초상화가 사라진 이유를 인간에 대한 존경이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보았듯이, 한국화에서도 인간에 대한 존경이 사라진 듯, 국전시대에 맹위를 떨치던 인물화가 사라졌고, 있어도 왜곡되거나 변형되었다. 이제 인물화는 동서양 모두에서 신()이나 자연이 아니고, 인간이 인간을 변형시키고 왜곡하는 작은 신()이 되었다.

중국회화의 전성기인 북송 말 선화화단(宣和畵壇)에서 수묵산수화와 채색화조화의 번창에도 인물화·도석화가 양적으로 가장 많았던 것은 세상의 주인이 여전히 인간이었다는 반증이요, 한편으로는 그 당시 인물과 안마(鞍馬)를 포용할 수 있는, 이공린의 백묘화(白描畫)같은 창안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한국에서 추상화가 번창하면서 서양화, 즉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에서처럼 대상의 왜곡, 변형과 달리, 시간이 갈수록 인물이 거의 사라졌다. 그러나 한국화에서도, 서양 현대처럼 현대를 대변하는 해석과 표현방식의 창안이, 즉 현실에 근거한 창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유희승의 그림은 전통의 현대적 창안이라는 면에서 또 하나의 예의 탐구로 적절하리라 생각된다.

단독인물상의 조합에서 군상(群像)의 수묵 선화(線畵)으로의 회귀와 채색 화훼화·인물화에 삽입된 화훼화: 상술한 2007년 전시의 숨김과 드러냄(隱現,藏露)의 미학, 2008-9년 이후에는 그녀에게 세상에 대한 자신감이 회복된 듯, 인물화면이 독립인물상으로 독립해 먹빛화면의 도움을 받지만, 그들 두 화면의 나뉨과 합함(分合)’은 자유분방한 역할이 줄고, 짙은 발묵의 먹빛 화면의 하늘의 역할이 강조되나 그 괴리만, 어두움만, 커졌다. 괴리의 해결 시도인 듯, 얼굴을 숨겼던(,) 짙은 화장, 피에로의 화장, , 고깔 등의 요소들이 사라지는 현대여성의 드러남(·)’의 미학이 시작되면서, 여인의 머리부터 아래로 이어지는 금빛이나 채색 새의 화려함은 그녀의 불안의 역설적 표현이거나 어떤 영원에 대한 염원이 자리 잡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고, 전통 초상화에서의 정면상의 등장, 인물에 불보살(佛菩薩)의 원형 두광(頭光)이나 원형 신광(身光)의 등장, 인물의 얼굴을 네모 화면으로 둘러싸는 이중, 삼중화면 등은 그러한 드러남의 미학으로 여인의 심상의 괴리, 즉 화의(畵意)의 간극의 심화를 역설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12년 화훼화나 화훼절지(花卉折枝)에서는 2007년의 인물화면처럼 먹빛화면을 동반하나, 2008-9년처럼 먹빛 화면에 또 더 짙은 먹빛화면이 들어가는 이중화면이라든가, 발묵의 색이나 먹으로 형과 색이 흐려지거나 원형, 마름모형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분합이나 화면의 변화는 그녀의 세상을 보는 시각이 변했음을 보여준다. 서양화에서는 새나 꽃은 금방 사라짐의 알레고리로 쓰였으나, 그녀의 그림에서는 아름다운 채색 화훼화로 독립된 꽃들은 대상을 사회현상전체로 이해하기보다는 어떠한 어려움에도 매년 철이 되면 피는 꽃의 성(), 자연(自然)’을 금니로 영원을 상징하고, 옛 화조화처럼 잠깐 아름다운 꽃으로 눈을 돌리면, 그녀가 말하듯이, 그 화려하고 아름다움이 우리에게 위로’,‘평화’‘자유’‘사랑이 되어, 그녀의 간극은 그러한 자연으로 보상되었다. 그러나 꽃과 새, 나비는 몰골(沒骨)의 색이 동양화의 궁극목표인 평담(平淡)’이기는 하나 아직 간솔(簡率)’로는 가지 못해, 사회의 엄중함은 아직 괴리의 해결 과정임을 보여준다. 한편 성장한 여성그림에서는 발묵이 농색으로 강화되고, 옆에 붙은 먹빛화면도 다양해져, 하늘의 역할은 더 커지고 다양화되었다. 여인은 심해지는 불안을 역설적으로 짙은 화장으로 덮거나 양귀비 등의 화려한 적(황색(黃色)의 절지(折枝) 꽃과 새, 나비로 성장(盛裝)하고, 얼굴만의 소()화면의 크로즈 업이 등장하는가 하면, 그들 절지(折枝)의 붉은 양귀비, 노랑·파랑 꽃이나 화분에 심겨있는 매화, 절지 매화, 청화백자 속에 꽂혀 있는 모란이나 양귀비는 화훼절지(花卉折枝)로 분화하고, 2012년부터는 자기(磁器) 화분에 담기거나 화병에 꽂혀 있는 화훼화로 독립한다.

새로운 창안-임모(臨摹()에 의한 집대성(集大成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