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전시· 사업 회원전시

회원전시

산호를 통해 상생의 조화로운 삶을 꿈꾸다.

전시장소 이앙갤러리 전시기간 2018년 5월23일 ~ 2018년 5월28일 전시작가 김주령

김주령개인전

-산호를 통해 상생의 조화로운 삶을 꿈꾸다. -

 2018.5.23.-28 (별도의 오프닝 행사는 없습니다.)

이앙갤러리 초대전

이앙 갤러리 : 남서울대학교 아트센터

110-530 서울 특별시 혜화동 90-18번지 뉴시티 빌딩 B2

tel. 02 3672 0201

 

산호를 통해 상생과 화의(化儀)의 조화로운 삶을 꿈꾸다

지난 이월 갤러리 이즈에서 김주령 작가의 개인전인 <생명의 조화로운 삶> 전이 열렸다. 전시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생명의 탄생과 소멸을 주제로 한 이번 작품은 자연, 그 중에서도 산호가 모티브가 됐다. 산호의 돌기를 개개인의 인간으로 비유한 그의 조형성은 이미 완전한 형태에 도달한 것이어서 보는 이들에게 새로운 감촉이 되기에 충분했다. 


많은 미술 작가들이 생명을 주제로 작업을 했지만 김주령 작가의 생명이 남다른 이유는 작품 소재에서부터 알 수 있다. 바로 바닷속 동물인 산호다. 산호를 기르면서 그 탄생과 소멸이 쉽게 간과할만한 게 아니라는 걸 알고는 작품에 차용하기 시작했다. 모든 생명체가 그러하듯이 산호도 탄생과 소멸을 맞지만, 소멸이 또 다른 탄생의 시작점이라는 게 가장 흥미로웠다고 했다.
 
“산호는 수백 개가 동시에 산란을 합니다. 촉수의 폴립이 열리면서 다양한 색상의 난자와 정자가 바닷속에 배출되는데, 이때 난자는 움직일 수 있는 유충이 되어 산호초로 몸을 숨기고 빠른 속도로 분열해 수정을 합니다. 바로 산호가 죽은 곳에서 말입니다. 그러니 죽은 자리에서 나고 난 자리에서 죽음을 맞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산호가 탄생과 소멸이라는 순환과정을 통해 생명성을 유지한다고는 하나 이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면 영원히 소멸을 하지 않는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불교의 윤회 사상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특히 산호가 군체 생활을 한다는 점에서 탄생과 소멸을 한눈에 목도시킬 수 있다는 것도 미학적 발판이 된 부분이었다.
 
“산호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백색으로 변화하면서 서서히 소멸합니다. 그래서 하얀 돌기는 죽음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탄생을 의미하는 노란 돌기를 곳곳에 채워서 삶과 죽음, 생성과 소멸을 같은 선상에서 바라보게 했습니다. 생성이 곧 소멸을 의미하고 소멸이 곧 생성을 야기한다는 걸 관람객들에게 환기시키는 것입니다.


김주령 작가는 우연히 키우게 된 산호라는 소재를 쉽게 지나치지 못하고 그 본질로 들어갔다. 그리고 본질이 파생하는 의미까지 집요하게 파헤쳐서 의미 있는 도출을 끌어냈다. 그것을 시각적으로 전환시키기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결국 설득력 있는 작품을 만들어 냈다. 누가 보아도 김주령의 작품이라 할 만큼 독창적이다.
 
“저는 바다생물을 키우는 ‘물 생활’을 시작으로 산호에게 감성 치유를 느꼈고, 작품까지 재현해 냈습니다. 이 재현은 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닌 유기체적 생명성을 끌어내는 것이었습니다. 점차 산호가 저이자, 인간이자, 새로운 생명체로 변모하는 과정을 거쳐 지금은 ‘인간과 새로운 생명의 실존’이라는 사유로 그 의미를 확장하게 됐습니다.


 
인간과 새로운 생명의 실존
인간과 새로운 생명의 실존김주령 작가가 말하는 인간과 새로운 생명의 실존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것은 그가 표현한 원에서 비롯된다. 원은 산호의 돌기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이지만 산호의 산란이 시작되는 세포의 형태이기도 하고, 물고기의 산란이 시작되는 알의 형태이기도 하다. 또 도시계획의 기본이 되는 것도 원이고 고대 천문학자가 생각했던 우주 개념도 원이다. 태양과 달도 마찬가지다.
 
“원은 생명의 원동력이 되는 궁극적인 완전을 표상합니다.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산호의 돌기를 인간의 머리로 해석하면 수많은 인간이 밀집한 인간 숲이 됩니다. 그래서 <생명의 조화>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의 성장이 가장 조화를 이룬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산호를 화두에 올림으로써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그의 작품은 불교의 화의사상(化儀思想)을 실천하고 있었다. 화의란 부처의 도를 깨닫는 것으로써 현대 사회에서는 인간의 욕망으로 생긴 갈등을 교화하는 방법으로 쓰이고 있다. 그것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작품이 <생명의 재발견>이다.
 
“<생명의 재발견>에 나타난 부처는 해탈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부처와 같이 해탈을 하면 생명의 근원에 다가갈 수 있다는 의도로 표현했습니다. 해탈이라고 하면 개인을 앞세우기 보다는 모든 생명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화의를 이뤄 작품 <생명의 조화>처럼 생명의 색채가 땅과 하늘을 뒤덮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김주령 작가는 중앙대 한국화과를 졸업하고 동덕여대 한국화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지금까지 다섯 번의 개인전과 십여 회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도끼자루(중앙대학교졸업여성작가), 한국화여성작가, 동서미술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회원이자, 서울아동미술연구소 소장이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과 미술과 비평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김주령의 생각을 그리는 미술>, <김주령의 관찰이야기>를 출판했다. 오는 5월 23일부터 28일까지 대학로 이앙갤러리에서 초대전을 연다. NM
 

 

학력

동덕여대 박사(한국화) 졸업, 2016

중앙대 석사(한국화) 졸업, 2008

중앙대 학사(한국화) 졸업, 2005

 

개인전

생명의 조화로운 삶(이즈갤러리 기획 초대전), 이즈갤러리, 2018

소통과 치유-작은 것으로부터 전(박사청구), 서울 동덕아트 갤러리 2014

up side down , 서울 인사아트센터 2013

Dreaming World , 서울 관훈 갤러리 2009

내안의 풍경 전, 서울 가나아트 스페이스 2007

 

단체전

,,돈 전, 서울 15.8 아트 스페이스, 2017

모던아트 쇼 기획 초대전, 서울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2017

HoT , 11th 도끼자루(중앙대 여성 동문), 경기 안상철 미술관, 2015

논 플러스 울트라 전(서울 6개 대학 박사 연합), 서울 동덕아트 갤러리, 2015

천하제일미술대회 기획 공모전(미술세계), 서울 미술세계 갤러리, 2015

여덟게의 시각전(동덕여대 박사 8), 서울 아라아트센터, 2015

KIMI For you 기획 공모전, 서울 KIMI 아트갤러리, 2015

전국 미술대학 공모전(미술과 비평), 서울 홍대 아트센터, 2014

아름다운 집에 모인 부끄러운 사람들 전, 서울 아라 아트센터, 2014

(가헌 최완수 선생님 고희 축하 전시)

신진작가 공모전(모인화랑 기획), 서울 모인 갤러리, 2014

광화문 국제아트 페스티벌(초대 작가전-1), 서울 세종문화회관 갤러리, 2014

 

가입 및 활동

도끼자루(중앙대학교 졸업 여성작가)회원, 한국화 여성작가 회원

동서미술학회 회원, 미술교육연구논총 회원

서울 아동미술 연구소 소장

 

그림 소장

미술과 비평 2014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2015

 

논문

구조적 이미지를 통한 현대문명과 인간에 관한 표현연구(박사논문), 2016

수묵을 이용한 교육이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17

(한국 미술교육논총학회 등재지)

 

출판 서적

김주령의 생각을 그리는 미술(그림아 놀자), 2012

김주령의 관찰이야기(동물 편), 2013

 

3. 이메일

sswnfud5645@naver.com

 

4. 전화번호

010-4702-5645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