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전시· 사업 회원전시

회원전시

결 (Gyeol_Breathe Light, Weave Shade)

전시장소 동덕아트갤러리 전관 전시기간 2019년 5월15일 ~ 2019년 5월27일 전시작가 홍순주

1. 전시제목 : 홍순주 개인전 (Gyeol_Breathe Light, Weave Shade)

2. 전시기간 : 2019.5.15.5.27

3. 오픈시간 : 2019.5.15.수 오후 6

4. 전시장소 : 동덕아트갤러리 전관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68 동덕빌딩 B1, Tel _ 02-732-6458)

 

----------------------------------------------------------------------------

한 작가의 삶과 시대정신 전통을 딛고 현대를 마주하다.

김상철(동덕여대 회화과 교수, 미술비평)

 

한 작가의 삶은 필연적으로 자신이 속한 시대의 특정한 상황을 내밀하게 기록하게 마련이다. 그리고 그것이 변혁의 격변기일 경우 그 내용은 보다 깊은 곡절을 아로새기며 상대적으로 큰 진폭을 드러내게 된다. 우리 현대사에서 작가 홍순주가 감내한 시공의 역사는 혼돈과 열정, 추구와 모색으로 점철된 시기였다. 사회적으로는 비약적인 경제적 성장과 민주화 열기가 뜨거웠던 시기였으며, 문화적으로는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진 시기였다. 미술에 있어서 이는 결국 전통과 현대라는 상충적인 가치의 통합과 조화였으며, 세계성이라는 보편성과 우리 것이라는 특수성의 충돌과 융합의 문제로 귀결되었다.

작가로서 홍순주의 작업은 진지한 아카데미즘에서 출발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수묵을 기조로 한 인물에서 비롯된 초기 작업들은 필묵을 통한 수묵에의 천착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수묵을 전통의 실체로서 인식하고, 이의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해석을 통해 현대적 심미관을 표출하고자 하던 작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주지하듯이 수묵은 매우 오랜 역사적 발전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완정한 조형체계로 동양의 전통적 심미관을 대표하는 것이다. 작가는 이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현대라는 시공의 요구를 수용하고 가치를 표출하고자 한 것이다. 고답적인 필묵의 방법론에서 탈피하여 보다 분방하고 개성적인 수묵의 형식을 지향하고자 하는 작가의 추구는 다양한 실험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시 풍경에 대한 개성적 표현이나 필선의 다양한 실험 등은 필묵에 대한 작가의 주관적 해석 의지를 잘 드러내는 것이다. 비록 작가의 작업이 아카데믹한 것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지향점은 이의 경직된 수용이 아니라 부단한 실험을 통해 개별화된 가치를 추구하고 있었다는 점은 주목할 대목이다. 이는 향후 작가의 작업을 통해 일관되게 드러나고 있는 가치관이기도 하다. 즉 작가의 관심은 그것이 어떠한 소재, 혹은 재료이든 형식주의에 머무르지 않는 실험성을 전제로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해 표출하고자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작가의 자각과 모색은 결국 우리 것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전통적인 기물이나 조각보 등에 대한 관심은 당시 우리 사회 전반에 팽배해 있던 주체적이고 자주적이라는 문화적 인식과 일정 부분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이는 우리 미술과 문화에 대한 일종의 자각과 자성 운동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중국이나 일본과 구분되는 우리미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서양에서 비롯된 현대라는 가치에 대응하고자 했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은 전통적인 가치에 대한 전면적인 재고에 이르게 되었다. 작가는 새삼 보자기 등 전통적인 기물들을 통해 이러한 것들이 내재하고 있는 고유한, 그리고 독특한 심미적 요소들의 현대적 가치를 발굴하고 표출함으로써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 것으로 이해된다. 전통에 대한 일반적 관심이 대상의 재현이나 묘사를 통한 즉물적인 것이었음에 반해 작가는 역시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를 해석하고 수렴해 내었다. 그것은 형태는 생략되었지만 전통 기물을 통해 포착된 미묘한 색채감각과 섬세한 시간의 흔적들을 특유의 방법론을 통해 해석해 냄으로써 전통과 현대라는 시공의 거리를 해소하고 전통과 현대라는 상충된 가치를 융합하는 것이다. 무수한 노동의 집적을 통해 구축되는 깊이 있는 색채심미는 여타 재료에서는 발현되기 어려운 것이다. 작가는 수묵에서의 우연과 필연이라는 핵심적인 가치와 침잠하는 동양 채색 특유의 색채심미를 융합하였다. 당시의 작업이 추상이라는 형식으로 전해지는 것은 단지 형식의 문제일 뿐 그 근본적인 것은 전통미술에서 채집된 시각적, 감성적 경험의 결과를 동양회화 고유의 물성과 체계로 수렴하여 표출한 것으로 해석함이 옳을 것이다.

화면 형식을 마름모꼴로 변형하거나 특정한 구조적 규율성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분방한 화면 구성을 통해 개성을 십분 발휘하던 당시의 조형 의지는 향후 작가의 작업을 특정 하는 중요한 특질로 자리 잡게 되었다. 즉 작가의 작업은 아카데미즘을 기반으로 한 수묵에서 출발하였으나, 우리 것에 대한 추구라는 시대적 상황과 연계되어 진행되며 현대적이라는 가치를 표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 과정을 통해 작가는 수묵과 채색, 전통적인 것과 민속적인 것 등을 망라하며 개별적인 독자성을 확보해 나간다. 그것은 수묵과 채색, 구상과 추상, 혹은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이라는 이분법적 제약이 통용되지 않는 그만의 독특한 혼융과 절충의 개성적인 화면이었다.

이후 작가의 작업은 점차 자신만의 개성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드러내며 독특한 전형을 통해 수렴되고 있다. 필획을 중심으로 한 순간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구현되는 우연의 효과가 바로 그것이다. 화면은 점차 흑과 백, 혹은 청색 계열의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단순한 색채로 수렴되고 형상은 제거된 채 행위의 흔적만이 화면에 나타나는 독특한 형식이 바로 그것이다. 재료 자체가 지니고 있는 물성과 작가의 조형의지가 때로는 충돌하고 때로는 융합하며 이루어내는 이러한 화면은 온전히 작가의 호흡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것은 형식상 추상회화의 틀을 지니고 있으나 그 이면을 관류하는 것은 서예, 혹은 동양회화에서 조형의 기본으로 삼고 있는 필선의 확장된 해석을 담고 있다. 즉 작가의 호흡을 반영하며 오묘한 떨림과 울림, 그리고 물성에서 비롯되는 스미고 번짐의 흔적들은 통해 발현되는 동양적 심미가 내재되어 있음이 여실하다. 더불어 재료의 물성은 십분 용인하되 작가의 조형 의지는 최소화하는 숨김과 드러냄의 작업 방식은 비록 채색 등 다른 재료를 차용하고 있지만 그 본질적인 맥락은 수묵의 그것과 잇닿아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의식과 무의식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행위의 흔적들이 교차하며 축적되는 가운데 언뜻 언뜻 드러나는 독특한 심미는 분명 추상의 형식이 아니라 고유한 우리의 전통에서 발견되고 채집된 정서이자 감정이며 상징으로 읽혀져야 할 것이다.

결국 작가의 작업은 작위와 무작위라는 추상적인 내용들로 수렴되고 있다. 이는 작가의 작업 전반을 규정하는 형식이자 내용이다. 그것은 함축과 절제의 심미이며 이는 수묵의 정신과 잇닿아 있다. 더불어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동양적 사유의 심중한 해석이자 진지한 표출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것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것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작가로서의 개별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작가의 의지는 결국 우리미술이 전통에서 현대로, 그리고 보편성에서 특수성으로 발전해 온 과정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기도 하다. 평생을 작업으로 일관하며 시대와 더불어 한없이 고민하고 거침없이 변화하며 오늘에 이르게 된 작가가 마침내 안착한 곳이 다분히 전통적이며 매우 한국적인 감성과 정서, 그리고 사유의 세계라는 점은 미망(迷妄)에 든 오늘날 우리 미술에 주는 건강한 이정과도 같은 것이다.

 

검은색과 추상: 홍순주 작가의 한국화에서

                                                                                                                           강수미

 우리 앞에 절제된 분위기의 그림이 있다. 그 그림의 바탕은 언뜻 깊은 밤의 적막함 혹은 빈 공간의 막막함을 상기시키는 검은색이다. 그 검은색 위로는 단호하면서도 우아한 한 두 번의 붓질이 가해지며 만든 흰색의 궤적이 보인다. 그 흰색 붓질은 마치 시간을 응결시킨 듯, 모필(毛筆)이 지면에 닿은 순간부터 지면 밖으로 빠져나간 순간까지를 고스란히 품고 화면 위로 드러났다. 때문에 그 붓질의 흰 빛은 그림 전체에 특별한 대비효과를 발생시킨다. 검은색 바탕이 무()와 부재(不在)의 평면이 아니라 칠흑(漆黑)에서 창백(蒼白)과 음예(陰翳; shadows)에 이르기까지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검은 빛들이 응집한 공간처럼 느껴질 만큼, 흑과 백 사이에 잔잔한 색조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요컨대 이렇게 하나의 그림이 일종의 직물처럼 색과 면을, 행위의 시간과 형상의 공간을, 검은 빛과 흰 빛 사이의 색 그늘들을 직조하며 특유의 짜임을 생성시킨다.

홍순주 작가의 <Breathe Light, Weave Shade> 연작 중 2019년 최근작을 두고 우리가 의미 부여할 미학적 특성이 위와 같다. 그런데 작가는 40년 이상 한국화에 헌신해왔다. 그러므로 한국화의 언어로 말하자면 <>의 검은색은 사실 먹빛이고, 붓질은 ()’이라고 표현하는 게 더 적확하다. 또한 작가가 한국화의 정신과 수묵 표현의 전통에 기초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회화 실험으로 예술적 성취를 이룬 지점을 상찬하는 것이 감상의 핵심일 수 있다. 이를테면 작가에게 ’ ‘먹빛’ ‘먹색이란 한갓 질료가 아니라 그 너머 한국화의 본질이라는 점, 면이 아니라 필의 생명과 호흡이 회화의 관건이라는 점 등이 그렇다. 하지만 한국화를 한국화론, 동양화론, 동양미학 중심으로 논하는 틀에서 조금 자유로워지자. 그러면 우리는 홍순주의 회화에서 뿌리가 된 작가만의 내밀한 경험과 기억, 수 십 년 동안 다양한 형식, 질료, 조형 언어를 실험하는 가운데도 견지해온 미술의 지향점, 그리고 서두에서처럼 감상자가 그림에서 경험하는 미적인 것(the aesthetic)의 내용을 말할 수 있게 된다.

한옥의 한지 창호(窓戶)로 깃드는 빛과 반닫이 속의 옷가지를 정갈하게 덮고 있던 보자기는 어린 시절 홍순주의 미적 원()체험이 되었고 그것이 기억과 감각에 각인되었다. 그리고 이후 작가 홍순주로 하여금 연작의 주제가 말해주듯 빛이 숨 쉬고, 그늘의 색조가 직조되는화면을 추구하도록 이끌었다. 나아가 그 기억은 작가만의 이미지 기원이 되어 1980년대 수묵담채화부터 2019년 현재의 추상에 이르기까지 먹의 빛과 필의 획/결을 일관된 창작 지향점으로 삼도록 후원했을 것이다.

그런데 결이란 애초 단수(單數) 이상의 존재를 필요로 하고 그 존재들이 맺는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 이를테면 작가와 작품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와 결이 맞는 감상자가 존재해야 한다. <> 연작의 검정색 바탕을 통해 한지 창으로 스며드는 여릿한 아침빛 한 자락부터 칠흑 같은 밤의 그림자를 추체험하는 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40년 넘게 그림을 그린 작가의 삶에 헤아릴 수 없이 많고 다양한 무늬를 새긴 사람, 사건, 사물, 생각, 경험, 느낌, 행위를 샅샅이 들여다보려 해서가 아니다. 그와 달리 홍순주라는 한 인간 안에 기억과 미적 취향의 형태로 끊임없이 쌓이고 재편되었을 무엇이 그림으로 어떻게 현상되고, 그 그림을 보는 나와 어떤 결로써 짜임을 이루는지가 관건이다. 우리는 거기에 홍순주의 한국화 추상이라는 이름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홍순주

1954 서울

1972 경기여자 중·고등학교졸업

1976 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과 졸업

1981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순수미술학과 동양화전공 졸업

1994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방문교수

 

개인전

2017 <OPEN STUDIO>, 파리국제예술공동체 B204, 파리, 프랑스

<Breathe Light, Weave Shade>, CASCADE gallery, 독일

2015 <>, 써포먼트 갤러리, 서울

<>, 연화랑, 제주

2014 <>, 갤러리 한옥, 서울

2013 <>, 안상철미술관, 경기

2009 <석주미술상 수상전>, 대한민국 예술원 미술관, 서울

2008 <Breathe Light,Weave Shade>, Art gate gallery, 뉴욕, 미국

2007 <>, 노화랑, 서울

2005 오사카 부립 현대아트센터, 일본

2003 갤러리 아트포럼 뉴게이트, 서울

2002 Colorado Univ. UMC gallery, 미국

2000 갤러리 우덕, 서울

1999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1999 갤러리 봄, 경기

1994 Pennstate Univ., HUB gallery, 미국

1992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주요단체전

2019 5親交:멘토 멘티 Friendship mentor mentee, 한원미술관, 서울

광화문 아트포럼 선정 올해의 작가 초대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한국화, 길을 묻다., 갤러리 미술세계, 서울

2018 디지털시대 한자의 재발견, LA문화원 ART Gallery, 서울

필연적 관계성,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전남 국제 수묵 비엔날레, 목포 문화예술회관, 목포

다시 돌아보다, 한국미술관, 경기

회화2000, 국립 국부기념관, 대만

오늘의 여성미술, 양평 군립 미술관, 경기

2017 먹의 먹과 맛 : 현대 수묵화 다시보기, 이천시립월전미술관, 경기

INK PAINTING, 대만국립사범대, 대만

SEATTLE ART FAIR, Century Link Event Center,시애틀, 미국

전남국제수묵 프리비엔날레, 목포문화예술회관, 전남

한국 미술 응원 PROJECT, 가나인사아트센터, 서울

2016 김기주 평론집 출판 기념전,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마음의 표정과 긍정의 아포리아전,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서울

Total support for total museum, 토탈미술관, 서울

KIAF 2016, COEX, 서울

2015 80년대 한국미술,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한 회화교류 작품전, Museum of Shandong Univ.

'우리다움'을 고집하던 황창배를 기억하다, 금보성 아트센터, 서울

2014 LA Art show 2014, LA convention center, 미국

한국 & 방글라데시 교류전, 목금토갤러리, 서울

문화 상대론의 대두와 먹그림의 전망,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예술, 공감의 코드,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13 DDWU & NTNU Art exchange exhibition

국립대만사범대 Teh-chum Art Gallery, 대만

회화 2000, 갤러리 그림손, 서울

2012 동덕여자대학교 예지관 개관기념 Cotton born to live twice, 동덕미술관

친교: 멘토 멘티 전, 한원미술관, 서울

안견 회화 정신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11 국제 종이전 심포지움, 국부기념관 중산국가 화랑, 대만

Art Chicago, Museum of contemporary Art, 시카고

29th 화랑미술제, COEX, 서울

청도 명가미술관 100인 초대전, 청도미술관, 중국

2010 Modernism on&off석주문화재단, 가나아트센터, 서울

SeoulTokyo, 주한 일본대사관 문화원 실크 갤러리, 서울

SeoulTokyo, 주일 한국대사관 문화원 갤러리M, 서울

동덕 창학 100주년 기념 개교 60주년 기념 한·중 교류전, 동덕아트갤러리 De Seoul a Caracas, Galelria Dimaca, 베네수엘라

2009 추상을 돌아보다, 아트포럼 뉴게이트, 서울

2008 북경 아트페어, 중국

경기여고 개교100주년 기념전, 성곡미술관, 서울

도시, 인간, 자연전,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성남

페미니즘 2070 한자리전, 한국미술관, 용인

곰취의 향을 맡다, 양구군립 박수근미술관, 강원

여류작가 15정림리 마을을 걷다, 양구군립 박수근미술관, 강원

2007 한국화 1953-2007,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7 상하이아트페어, Shanghai Mart, 중국

회화2000, 리씨갤러리, 서울

2007 KIAF, 예술의전당, 서울

2006 2006 KIAF, COEX 태평양홀, 서울

2005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전통과 현대, 이화여대박물관, 서울

2004 여성, 그 다름과 힘-그리고 10, 한국미술관, 경기

2000 회화 2000, 공평아트갤러리, 서울

Focus, 갤러리 코리아 뉴욕 한국문화원, 뉴욕

한국화 여성작가회 창립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Contemporary art from Korea-한국국제교류재단 주최, Funoon

gallery, 쿠웨이트 / Unesco palace, 베이루트

1999 새 천년 대한민국의 희망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97 한국화 오늘과 내일전, 워커힐 미술관, 서울

한국미술 엔타시스전,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1996 나혜석 탄생100주년기념 현대여성미술제, 경기도 문예회관, 경기

1995 95한국여성 미술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현대회화 50주년 기념전, 서울신문사, 서울

현대 한국화전, 민족문화궁 염황미술관, 중국

1994 서울 정도600년기념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Four Woman Exhibition, ADME&Art Gallery, P.A

오늘의 한국미술 현상과 쟁점, 공평아트센터, 서울

1993 Reaching for New Horizen, Gallery Morency, 몬트리올

한국의 인물-움직이는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지성의 표상-교수신문사 기획초대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1992 Toward a New Down, I.M.F.워싱턴

·중 미술협회전, 예술의전당, 서울

1992~1998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1 Sight from the East, 한국문화원갤러리, 뉴욕

1990 한국화 10인전, 한국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한국화 10인 초대전, 최갤러리, 서울

예술의전당 개관기념전, 예술의전당, 서울

내행전 창립전, 동덕미술관, 서울

1989 80년대의 여성미술전, 금호미술관, 서울

한국화 오늘과 내일, 워커힐미술관, 서울

1989~92 서울 현대한국화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88 88현대한국회화-수묵과 채색을 통한 새 시각전, 호암갤러리, 서울

1989~1991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7 대한민국 미술대전 수상작가 초대전, 문예진흥원미술관, 서울

33인전, 한국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한국 기독교미술인협회전, 서울갤러리, 서울

1986 ·독 미술협회전, 프랑크푸르트, 독일

아시아 현대 채묵화전, 한국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한국화 12인전, 한국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개관초대전,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채묵의 가능성, 경인미술관, 서울

1983 83청년작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도시라는 자연전, 샘터화랑, 서울

··묵전, 관훈미술관, 서울

1982 일곱 사람의 수묵전, 그로리치 화랑, 서울

수묵의 표정전, 관훈미술관, 서울

1981 1회 동서양 정예작가전, 서울신문사, 서울

1980 한국현대수묵화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8 1회 중앙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6-1980 국전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그 외 다수의 기획전

 

2000~ 회화2000, 후소회 / 1999~ 한국화여성작가회

1998~ 한국미술협회 / 1976~ 목화전 / 1981~ 이원전

 

아트페어

시카고 아트페어, LA 아트쇼, 뉴욕 아트 엑스포, 씨애틀 아트페어

스트라스부르 아트페어, 북경 아트페어, 청도 아트페어, 상하이 아트페어, KIAF,

MANIF, 화랑미술제

 

수상

2014 후소회 이당 미술상

2013 광화문 국제 아트페스티벌 조직위원회 올해의 미술가상

2009 19회 석주문화재단 석주미술상

1983 2회 미술대전 대상, 국립현대미술관 / 작품명: 어느 오후

1979 28회 국전 문공부장관상 수상, 국립현대미술관 / 작품명: 下午

 

레지던시

파리국제예술공동체, 가나문화재단, 파리, 프랑스

 

화단활동 경력

국립현대미술관, 문화관광부, 서울시립미술관, 대한민국 미술대전,

동아미술대전, 단원미술제 등 심의위원 및 운영위원

한국화 여성작가회 고문, 이천시립월전문화재단 이사

대학미술협의회 부회장, 동서미술연구회 부회장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동덕박물관장, 동덕아트갤러리 관장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전문건설인 회관, 상하이 한국 영사관

동덕여자대학교 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www.hongsoonjoo.com hong@dongduk.ac.kr 010-8741-4626

 

 

본문